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시장 급변…7월 이후 상폐 가능성 있는 코인들은?

logo
자유게시판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시장 급변…7월 이후 상폐 가능성 있는 코인들은?

금융당국이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에 맞춰 암호화폐의 상장과 상폐 가이드라인을 국내 전 거래소에 일괄 적용키로 했다.

금융당국은 국내 기업, 재단은 물론 해외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 해외의 신규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동일한 상장 및 상폐 기준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 금감원이 법 시행에 앞서 국회에 보고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부대의견 이행 보고서‘에 따르면 4 개 부문에 총 8개 형식적 심사요건과 1개의 질적 심사요건으로 상장과 상폐를 결정한다.

해당 요건들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분기마다 1회 유지심사가 이뤄지고, 문제 코인들은 유의종목 지정을 거쳐, 상장 폐지된다.

기존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 돼 거래되고 있는 코인들도 유지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상장 폐지가 불가피하다.

블록미디어가 단독 입수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부대의견 이행 보고서’와 금융당국, 업계 취재를 종합해보면 7월 법 시행 이후 대략 30 개 안팎의 코인이 유지심사 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유지심사에서 합리적인 소명을 하지 못하거나, 지적 받은 사항을 개선하지 못하면 최악의 경우 상장 폐지 결정을 받게 된다.

블록미디어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유통량 계획서 위반이나, 락업 물량 해제 등으로 논란을 빚은 코인들의 사례를 취합했다. 해당 코인들이 유지심사에 오를 것인지 여부는 금융당국의 최종 가이드라인과 거래소의 판단에 달려 있다.

A코인
2020년 코인 매각, 유통, 락업 관련 논란에 휩싸임. 소송 전으로 비화

B코인
2020년 채굴 보상을 무단 중지, 언락하는 계획으로 논란을 빚음

C코인
2022년 잔고 조작 및 락업 위반 의혹이 제기됨

D코인
2022년 재단의 유동성 부족 문제가 지적됨

E코인
2020년 네트워크의 인플레이션 메커니즘으로 인한 유통량 증가 논란

F코인
2021년 네트워크에 락업 위반 물량이 많아 투자자 반발

G코인
2022년 커뮤니티 승인 없이 토큰 락업 정책 변경

H코인
2020년 코인 발행자가 대량 언락 후 매각 계획으로 시장에 혼란 유발

I코인
2022년 토큰 유통량 조작 의혹 제기

J코인
2021년 락업 정책 변경으로 커뮤니티 반발

K코인
2023년 토큰의 락업 해제와 유동성 문제 지적

L코인
2020년 토큰 락업 계획 변경으로 주주들 간 갈등

M코인
2021년 토큰 락업 정책 변경으로 투자자 반발

N코인
2022년 재단의 토큰 대량 락업 해제로 시장 혼란

O코인
2023년 토큰 유통량 계획을 무단으로 수정 후 코인 매각. 스테이킹 물량 처리 논란

P코인
2021년 재단의 토큰 락업 계획 변경에 투자자 불만

Q코인
2022년 창립자의 자금 인출 및 토큰 언락 의혹

R코인
2020년 토큰 유통량 조작 의혹

S코인
2022년 네트워크 통합 이후 토큰 락업 정책 변경으로 논란

T코인
2021년 토큰 대량 언락으로 유통량 관리 실패 지적

U코인
2020년 재단의 예고 없는 토큰 매각 계획으로 가격 급락

V코인
2023년 네트워크의 토큰 유통량 통제 실패

W코인
2022년 토큰 소각 정책 변경으로 투자자 반발

X코인
2021년 창립팀의 대량 토큰 언락으로 커뮤니티 반발

Y코인
2023년 네트워크의 잔고 조작 의혹 제기

Z코인
2024년 블록체인 마이그레이션 이후 특정 거래소의 특정 계좌로 대량의 코인 물량 이동

0 Comments
제목

카테고리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