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글로벌 내러티브] 인공지능·밈·레이어2 外

logo
자유게시판

[오늘의 글로벌 내러티브] 인공지능·밈·레이어2 外

도돌도돌킥 0


[오늘의 글로벌 내러티브] 인공지능·밈·레이어2 外

2일 인공지능(AI) 기반 웹3 서치 플랫폼 카이토(Kaito)의 내러티브 마인드셰어(Narrative Mindshare, 전체 시장 맥락에서 특정 내러티브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 순위에서 인공지능(AI), 밈(Meme), 레이어2(L2), 게임파이(GameFi), ETF 등이 순차적으로 상위에 올랐다.

인공지능(AI)은 전체 34.77%로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밈(Meme)은 13.86%로 2위, 레이어2(L2)는 7.7%로 3위, 게임파이(GameFi)는 6.82%로 4위, ETF는 6.12%로 5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디파이(DeFi), 영지식(ZK), 데이터 가용성(DA), 현실세계자산(RWA), 모듈화(Modularity) 등이 6~10위에 올랐다.

먼저 AI의 경우 엔비디아가 주도하는 AI 투자 광풍에 힘입어 AI 관련 코인도 지속 주목을 받는 모양새다. AI 코인은 주로 AI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플랫폼에서 발행되는 가상자산이거나, AI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프로젝트가 발행한 코인을 의미한다.

특히 한국인 투자자들이 엔비디아 주식과 더불어 고위험 AI 코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는 외신의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카이코 집계를 인용, AI 토큰 주간 거래량에서 한국 점유율은 최저치였던 2023년 중반 0.6%에서 올 5월 18.7%까지 급증했다고 밝혔다.

2위를 차지한 Meme은 올해 들어 페페 등에 힘입어 '밈코인 열풍'이 불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페페는 이날 현재 0.03원대로 올 들어 10배 넘게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또 다른 밈코인 도지코인(DOGE), 시바이누(SHIB) 등도 함께 주목을 받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샌티멘트는 "밈코인이 시가총액 고점 부근에서도 많은 트레이더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라며 "혼자만 뒤쳐지는 것 같은 공포감과 가격 상승에 따른 두려움 등으로 변동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세번째로 L2는 레이어1(L1)의 확장성을 해결하는 솔루션으로, 올해 들어 L2 생태계가 활기를 띠고 있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더리움 L2 총예치자산(TVL)은 현재 지난해 말 대비 두 배, 올해 들어 70% 넘게 증가했다. 타이코(Taiko, TKO) 등 신규 L2 플랫폼들의 출시도 이어지고 있다.

이더리움 현물 ETF가 출시될 경우 이더리움의 생태계가 확장하면서 이더리움 L2 프로젝트 역시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대표적인 이더리움 L2 프로젝트로는 아비트럼(ARB), 옵티미즘(OP) 등이 꼽힌다.

4위 게임파이 프로젝트는 가상자산 강세장 속에서 부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갈라(Gala), 더샌드박스(SAND), 엑시인피니티(AXS) 등이 주요 코인으로 꼽힌다. 마지막으로 ETF는 올해 미국, 홍콩 등에서 거래되기 시작한 비트코인 현물 ETF에 이어 미국의 이더리움 현물 ETF의 승인 전망에 따른 주목을 받고 있다.

0 Comments
제목

카테고리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