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 한 달 간 신규 토큰 50만 개 출시–가능한 이유는!?

logo
자유게시판

솔라나(SOL), 한 달 간 신규 토큰 50만 개 출시–가능한 이유는!?

솔라나(Solana)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토큰의 발행 수가 월간 기준으로 50만개에 육박해 모든 체인을 통틀어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더블록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특정 밈코인의 성공과 누구나 몇 초 만에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능력 때문이다.

5월 한 달 동안 솔라나 블록체인에서는 약 50만 개의 토큰이 발행됐다. 진입 장벽이 낮고 히트 밈코인을 만들고자 하는 욕구가 맞물려 이러한 성과를 이뤘다. 더블록프로(The Block Pro)의 데이터에 따르면 5월에 솔라나에서 45만 5천 개의 토큰이 발행뙜다.

이는 이더리움 레이어 2 베이스(Base)에서 발행된 17만 7천 개의 토큰과 BNB 체인에서 발행된 3만 9천 개의 토큰과 비교된다. 이더리움 메인넷 및 레이어 2 네트워크인 아비트럼(Arbitrum)과 옵티미즘(Optimism)에서는 각각 2만 개 이하의 토큰이 발행됐다.

블록체인별 한달간 신규 코인–더블록

솔라나 재단의 전략 책임자인 오스틴 페데라(Austin Federa)는 “솔라나는 빠른 결제와 높은 처리량을 자랑하며 매우 낮은 거래 수수료를 가진 범용 레이어 1로 설계됐다”며 “솔라나에서 대량 토큰 생성이 증가한 것은 이러한 특성의 결과로 실험과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의 비용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솔라나에서 토큰 생성은 인터넷에서 콘텐츠를 만드는 것만큼 쉽다고 덧붙였다.

솔라나에서 발행된 대부분의 토큰은 밈코인이다. 도그위햇(Dogwifhat. WIF), 봉크(Bonk) 및 Book of Meme과 같은 솔라나 기반의 밈코인이 빠르게 암호화폐 시장에서 성장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솔라나의 성공에는 Pump.fun이라는 웹사이트의 역할이 컸다. 이 사이트는 몇 번의 클릭만으로 토큰을 만들 수 있게 한다. 지난 몇 달 동안 많은 토큰을 발행하게 했다. 솔라나 네트워크에서는 올해 들어 110만 개의 새로운 토큰이 발행됐다.

이 웹사이트는 ‘Jeo Boden’과 ‘Doland Tremp’ 같은 정치적 밈코인들의 출발점이 됐다. 이 코인들은 미국 대선을 앞두고 성공을 거두었다. 정치적 밈코인은 지난주 트럼프가 34건의 허위 사업 기록 조작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급등했다.

The Block Pro의 연구 책임자인 스티븐 정(Steven Zheng)은 “밈코인 열풍과 Pump.Fun의 성공 덕분에 솔라나가 현재 새로운 토큰을 발행하는 데 있어 선도적인 블록체인이 되었다”며 “솔라나가 밈코인 외의 토큰 발행에서도 주목 받을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고 말했다.

최근 육상선수 케이틀린 제너(Caitlyn Jenner)와 랩퍼겸 모델 이기 아젤리아(Iggy Azalea)와 같은 유명인들도 솔라나 기반의 토큰을 발행했다. 그들의 대규모 팬층에 기대서 토큰 가치 상승을 노리고 있다.

솔라나가 5월에 가장 많은 신규 토큰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최근 몇 달 동안 높은 활동을 보여준 베이스 네트워크를 넘어야 했다. 4월에는 베이스가 24만 개의 신규 토큰을 발행한 반면, 솔라나는 22만 9천 개의 토큰을 발행했다.

BNB 체인은 새로운 토큰 발행을 위한 이전의 주력 네트워크였다. 2021년과 2022년 동안 BNB 체인은 월 평균 9만 5천 개의 토큰이 발행됐으나, 2021년 5월 정점을 찍은 후 점차 감소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2017년 이후 6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700만 개의 토큰이 발행됐다. BNB 체인은 370만 개의 토큰으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솔라나는 140만 개의 토큰으로 뒤를 잇고 있다. 이더리움 메인넷은 100만 개에 못 미치는 토큰을 보유하고 있다.

새로 생성된 토큰 수는 암호화폐 생태계를 관찰하는 한 가지 지표에 불과하다. 이는 비용이 저렴하고 처리량이 높은 체인을 반영하며, 각 토큰에 축적된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토큰은 유동성이 없고 곧 잊혀질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의 활동이 어디서 일어나고 있는 지를 나타낸다.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계속해서 더 빠르고 저렴해지기 위해 경쟁하면서, 이러한 추세는 더 지속될 전망이다.

0 Comments
제목

카테고리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